제주 4·3 사건,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비극
- 시간
- 수 오전 10:50 (2024-04-03~2024-04-03)
- 출연
- 유지태
- 채널
- KBS1
한국 현대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사건 중 하나로 꼽히는 제주 4·3 사건은 1948년 4월 3일부터 1954년 9월 21일까지 제주도에서 발생한 대규모 민중 항쟁과 그에 대한 군경 진압 과정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해방 후 혼란스러운 시기에 벌어진 이 사건은 수많은 제주도민의 희생을 낳았고, 오늘날까지도 많은 사람들에게 깊은 상처를 남겼습니다.
사건의 배경과 시작
제주 4·3 사건의 배경에는 해방 후 남북 분단과 이념 대립이 있었습니다. 1945년 해방 이후 남한은 미군정, 북한은 소련군정의 통치를 받으며 혼란이 이어졌습니다.
특히 제주도는 남로당 세력이 강하여 남한 단독정부 수립을 반대하는 목소리가 컸습니다. 이러한 배경 속에서 1948년 4월 3일, 남로당 제주도당이 무장봉기를 일으켰고, 이를 진압하기 위한 군경의 대대적인 작전이 시작되었습니다.
비극의 전개
무장대의 첫 공격 이후, 정부는 이를 공산주의 반란으로 규정하고 무차별 진압에 나섰습니다. 문제는 진압 과정에서 군경이 무장대와 민간인을 구분하지 않고 무차별적으로 학살했다는 점입니다.
특히 1948년 11월 17일 북촌리 학살 사건을 비롯하여, 주민 수백 명이 집단 학살당하는 비극이 반복되었습니다. 이승만 정부는 제주를 '소탕지구'로 지정하고 강경 진압을 강화하면서, 한라산 일대에서 수많은 민간인이 희생되었습니다.
4.3 사건 관련 영상자료
사건 이후와 진상 규명
4·3 사건은 오랜 기간 금기시되어 피해자와 유족들이 목소리를 낼 수 없었습니다. 민주화 이후, 1999년 '제주 4·3 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이 제정되었죠.
뉴스타파, 제주 4·3 당시 영상 ‘제주도의 메이데이’ 공개
뉴스타파, 제주 4·3 당시 영상 ‘제주도의 메이데이’ 공개
newstapa.org
제주 4.3 평화재단 홈페이지
2003년 노무현 대통령이 공식 사과하며 정부 차원의 진상 조사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이후 4·3 평화공원이 조성되어 희생자들을 기리고 있습니다.
제주 4.3 평화재단 홈페이지에 들어가면 관련 자료 및 행사 등을 자세히 보실 수 있습니다. 정기적인 뉴스레터 신청도 가능하니 필요하신 분들은 신청해 보시면 좋을 거 같습니다.
제주 4·3 사건은 한국 현대사에서 국가 폭력의 희생자가 된 민간인의 아픔을 보여주는 사례입니다.
지금도 4·3의 진상 규명과 희생자 명예 회복을 위해 많은 노력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이 사건을 기억하고 되새기는 것은 단지 과거를 잊지 않기 위함이 아니라, 앞으로 이러한 비극이 반복되지 않도록 경각심을 가지기 위함입니다.
글에 사용된 이미지는 모두 유튜브 '씨리얼' 영상 자료와 제주 4.3 평화재단 홈페이지 자료입니다.
어렵고 무거운 이야기이지만,
제주 4·3 사건은 우리가 반드시 기억해야 할 역사입니다.
4.3사건 – Daum 검색
Daum 검색에서 4.3사건에 대한 최신정보를 찾아보세요.
search.daum.net
제주도민의 아픔과 희생을 잊지 않고, 평화로운 사회를 만들기 위한 교훈으로 삼아야 할 것입니다.